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경제정책

트럼프 대통령, 무역 협상팀에 ‘국가별 맞춤형 관세 협상’ 지시… 동맹 우선 강조

남지완 기자

입력 2025.04.09 08:40

숏컷

X

백악관 대변인, 70여개 국가와 협상 진행중

미국이 전세계를 대상으로한 관세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chatgpt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 협상팀에 상호 관세 등과 관련해 국가별로 맞춤형 협상을 할 것을 지시했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화를 받고 대화할 의사가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그는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으로 독특한 것이 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70개 가까운 국가가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하고 있다고 재확인하면서 "이들 국가는 미국산 제품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고,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 산업을 차단함으로써 부당하게 부유해졌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입장이다"며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레빗 대변인은 무역 협상에 다른 의제도 포함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맞춤형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면서 "만약 그것이 해외 원조, 미군의 이들 국가 주둔 및 그 비용 등을 의미한다면 그것은 협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상호관세 스케줄을 묻는 말에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미국 노동자와 제조업 등에 좋은 것이 되도록 매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이 협상은 모든 국가에 대한 심각한 적자도 해결해야 하며, 모든 옵션은 테이블 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상호관세는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도 계속 부과될 것이며 미국은 수조 달러의 수입을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우리는 전 세계의 파트너와 동맹을 우선시할 것"이라며 "중국과 같은 국가는 보복 조치를 선택했으며 미국 노동자에 대한 잘못된 대우를 계속하려고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남지완 기자 ainik@finance-scope.com

섹터 VIEW